[QGIS 활용] shp 파일 dxf 파일로 변환하기.
shp 파일 dxf 파일로 변환하기
활용 프로그램 : QGIS, ARC2CAD 5.0, 캐드(캐디안)
0. 지난 포스팅
지적도 파일을 받는 법
QGIS를 이용해서 지적도 파일에서 원하는 지역만 추출하는 법을 했음.
2022.07.18 - [QGIS&CAD] - 지적도 파일 다운로드하여 QGIS 활용 분할하기, 지역 추출
지적도 파일 다운 받아 QGIS 활용 분할하기, 지역 추출
파일출처 : 국가정보포털, Qgis 등 지적도 파일을 받는 법 준비물 : 국가공간정보포털 회원가입 QGIS 설치 1. 국가공간정보포털 로그인 http://www.nsdi.go.kr/lxportal/?menuno=2679 국가공간정보포털 국가는
alstnddl1.tistory.com
이제 그 다운로드한 지적도 혹은, 추출한 지역의 shp 파일을
캐드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음.
1. Qgis에서 dxf로 내보내기
Qgis 자체에서 다른 이름으로 보내는 방법으로
레이어 탭에서 지적도 파일 - 마우스 우클릭 - 내보내기(export) -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.
포맷 - dxf
파일 이름 - 위치와 이름 저장
좌표계 - 사용할 좌표계 설정 (경기도 안성은 보정된 bessel의 경우 중부원점이므로 EPSG : 5174)
인코딩 : UTF-8 또는 EUC-KR - 이 두 가지 중 하나로 내보내야 캐드에서 폰트가 잘 안 깨짐
생성된 dxf 파일 실행
내보내진 지적도 캐드에서 확인 화면
레이어 구분 없이 해치로만 알 수 있음.
따라서 다음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.
2. arc2cad 활용한 shp-dxf 변환
arc2cad 파일을 활용하는 방법으로
구글에 검색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트가 나옴.
https://arcv2cad.software.informer.com/7.0/
Arcv2CAD. Get the software safely and easily.
Windows program designed to convert ESRI Shapefiles to AutoCAD DXF and DWG formats.
arcv2cad.software.informer.com
다운로드 후 실행하면
와 같은 탭이 뜸.
이제 shp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찾아가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해야 함.
여기서 중요한 건,
경로 찾아가는 게 번거로우므로
비교적 가까운 경로에서 작업 후 이동하는 것을 추천함.
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는 순서는
- shp 파일 선택
- Text Labels 체크
- Specify(특성) 클릭
- 왼쪽의 Feature attribute fields의 jibun 선택
- 화살표 클릭해 우측의 text label fields로 넘김
- ok
- save as (다른 이름으로 저장)
- 다른 이름 저장하기를 누르면 캐드 버전(년도) 별로 저장할 수 있음.
아무거나 선택해서 저장하면 끝.
그러면 DXF 파일이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음.
실행하면 처음엔 글씨가 깨져있으므로
STG 같은 리습으로 글꼴 설정을 해서 변경해 주면 끝남.
끝.